크리에이터

지식박물관

비디오
35개
구독자
553
최근 3개월 구독자 증가
0명 증가
전체 동영상 시청수
71,643번
채널바로가기
지식박물관

데이터 통계

컨텐츠 목록

[박물관 전시 추천] 그리스가 로마에게 로마가 그리스에게, 내셔널갤러리, 조명치

2023-06-29T08:45:12Z

TABLE
시청수 1,505번
좋아요 29개
싫어요 0
댓글 1
국내에서 만나보기 힘든 7월 박물관 전시 추천 TOP 3! (영국 내셔널갤러리 명화전, 고대 그리스 로마실, 조명치) 서울에서 가보실 만한 박물관 전시를 추천합니다! 1. 국립중앙박물관 기획전시 영국 내셔널갤러리 명화전 '거장의 시선, 사람을 향하다' 2. 국립중앙박물관 상설전시 고대 그리스 로마실 '그리스가 로마에게, 로마가 그리스에게' 3. 국립민속박물관 해양문화특별전 '조기 명태 멸치' 제가 직접 가보고 좋은 경험을 얻었던 서울의 박물관의 전시 3개를 추천합니다. 여러분도 시간을 내서 꼭 한번 방문해보세요! #전시 #전시추천 #전시회추천
유튜브에서 보기

흑백TV 때문에 탄생한 축구공 디자인

2023-06-20T14:29:42Z

TABLE
시청수 669번
좋아요 6개
싫어요 0
댓글 1
흑백TV 때문에 탄생한 축구공 디자인 지식박물관 축구공 역사 FULL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9tl3i3FcHx0&t=6s #shorts #지식 #축구
유튜브에서 보기

명태는 왜? 이름이 100개가 넘을까? [국립민속박물관 Review]

2023-06-18T07:43:17Z

TABLE
시청수 1,684번
좋아요 24개
싫어요 0
댓글 2
생태, 동태, 황태, 북어, 코다리, 노가리... 한국에서 '명태(明太)'라고 부르는 Alaska pollock(Gadus chalcogrammus)는 대구목 대구과에 속하는 바다 어류의 일종인데요 과거 한반도에서 많이 어획하고 소비하는 생선이라, 다른 나라에서도 '멘타이(めんたい)', 밍타이위(명태어, 明太鱼), '민타이(минтай)' 등 명태를 호칭하는 어원에 많은 영향을 끼쳤습니다. 특히 한국에서는 명태의 어획 시기나, 장소, 가공 상태에 따라 다양한 이름으로 부르며 그 가짓수만 100가지가 넘을 만큼 무궁무진합니다. 명태와 함께 우리나라 밥도둑 삼형제에서 빠질 수 없는 생선으로 조기와 멸치도 있는데요. 마침 국립민속박물관에서 '해양문화특별전 조 명 치'라는 전시가 있어서 전시를 관람하고 배우고 느낀 내용으로 영상을 만들어 소개해드립니다. 여러분도 이 영상을 보고 흥미가 생기신다면 국립민속박물관을 방문하여 우리네 삶에 스며든 물고기와 그와 관련된 사람들의 이야기에 귀 기울여보시기 바랍니다. 국립민속박물관 '해양문화특별전 조명치' 바로가기↓ https://www.nfm.go.kr/user/planexhibition/home/20/selectPlanExhibitionNView.do?planExhibitionIdx=1131&page=1 #명태 #지식 #2023제2회SBA크포
유튜브에서 보기

초콜릿은 원래 달지 않다고?ㅣ초콜릿의 역사

2023-06-09T08:00:09Z

TABLE
시청수 1,468번
좋아요 22개
싫어요 0
댓글 1
달콤한 초콜릿의 기원은 사실 맵고 쓴 음료였다는 것을 아시나요? 초콜릿의 원료가 되는 카카오열매는 원래 쓴 맛이 나기 때문입니다. 이번 영상을 통해 초콜릿의 숨겨진 맛의 비밀을 파헤쳐보세요! #초콜릿 #카카오 #지식
유튜브에서 보기

90년전 제1회 월드컵 결승전 축구공? 배구공?

2023-02-08T16:18:06Z

TABLE
시청수 2,587번
좋아요 25개
싫어요 0
댓글 3
1930년 제1회 월드컵에서는 배구공처럼 생긴 축구공을 사용했는데요 우리가 흔히 아는 오각형의 흑백 축구공은 1970년에 탄생하였기 때문이죠 제1회 월드컵에서는 정해진 축구공의 규격이 없기 때문에 각 국가대표팀들이 선호하는 형태의 축구공으로 다투기도 하였습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회 월드컵부터는 피파에서 인정한 인정구만을 사용하기 시작하였죠 #shorts #월드컵 #축구
유튜브에서 보기

중세 유럽의 마스크는 왜? 새 부리 모양일까?ㅣ마스크의 역사

2023-01-21T08:30:17Z

TABLE
시청수 713번
좋아요 8개
싫어요 0
댓글 1
1918년에도 대중교통 탑승 시 마스크는 필수였다고? 고대 그리스에서는 전쟁 중에 연기를 막기 위해 스펀지를 사용했다고요? 1세기 로마에서는 탄광 노동자들이 동물의 방광을 뒤집어쓰기도 했지요, 중세 유럽, 흑사병이 창궐했을 때는 부리 마스크가 나타나기도 했습니다. 오늘날 현대적인 마스크는 20세기 1차 세계대전 이후 독감의 대유행 당시 보편적인 방역수칙으로 자리잡았습니다. 오늘날에는 미세먼지와 감기의 영향으로 일상의 일부분으로 자리잡은 마스크, 이제는 생필품이자, 패션, 전자제품이 되기도 하였죠 앞으로는 두 번 다시 마스크를 쓸 일이 없길 바라며 인류의 건강을 기원합니다. #마스크 #바이러스 #흑사병
유튜브에서 보기

시청자 연령 및 성별

TABLE
연령 남성 여성
13-17 2.7% 0.6%
18-24 8.7% 2.1%
25-34 18.6% 3.7%
35-44 17.1% 4.6%
45-54 20.3% 5.2%
55-64 8.8% 2.4%
65- 3.4% 1.7%

시청자 국가

TABLE
국가 비율
대한민국 99.88%